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백준 A->B
- 백준
- 백준 점프
- CRUD
- 금고털이 파이썬
- 피아노체조 파이썬
- 백준 피아노체조
- 등수매기기 파이썬
- jenkins
- MySQL완전삭제
- 지도자동구축 파이썬
- express mongodb
- 백준 등수매기기
- 백준알파벳파이썬
- 백준 점프 파이썬
- 파이썬 평범한배낭
- 백준 평범한배낭
- 프로그래머스
- 도커 컨테이너
- 소프티어 장애물인식프로그램
- 백준 전쟁-전투
- 장애물인식프로그램 파이썬
- 백준 바이러스
- 소프티어 지도자동구축
- 백준 예산
- 백준 전쟁 파이썬
- express
- 파이썬데이터분석라이브러리
- 1987파이썬
- MongoDB
Archives
- Today
- Total
바위 뚫는중
[BOJ] 백준 1003. 피보나치 함수 - DP, 실버3 본문
반응형
피보나치 함수
시간 제한 메모리 제한 제출 정답 맞힌 사람 정답 비율
0.25 초 (추가 시간 없음) | 128 MB | 201363 | 60885 | 47960 | 32.716% |
문제
다음 소스는 N번째 피보나치 수를 구하는 C++ 함수이다.
int fibonacci(int n) {
if (n == 0) {
printf("0");
return 0;
} else if (n == 1) {
printf("1");
return 1;
} else {
return fibonacci(n‐1) + fibonacci(n‐2);
}
}
fibonacci(3)을 호출하면 다음과 같은 일이 일어난다.
- fibonacci(3)은 fibonacci(2)와 fibonacci(1) (첫 번째 호출)을 호출한다.
- fibonacci(2)는 fibonacci(1) (두 번째 호출)과 fibonacci(0)을 호출한다.
- 두 번째 호출한 fibonacci(1)은 1을 출력하고 1을 리턴한다.
- fibonacci(0)은 0을 출력하고, 0을 리턴한다.
- fibonacci(2)는 fibonacci(1)과 fibonacci(0)의 결과를 얻고, 1을 리턴한다.
- 첫 번째 호출한 fibonacci(1)은 1을 출력하고, 1을 리턴한다.
- fibonacci(3)은 fibonacci(2)와 fibonacci(1)의 결과를 얻고, 2를 리턴한다.
1은 2번 출력되고, 0은 1번 출력된다. N이 주어졌을 때, fibonacci(N)을 호출했을 때, 0과 1이 각각 몇 번 출력되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는 한 줄로 이루어져 있고, N이 주어진다. N은 4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또는 0이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0이 출력되는 횟수와 1이 출력되는 횟수를 공백으로 구분해서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3
0
1
3
예제 출력 1
1 0
0 1
1 2
예제 입력 2
2
6
22
예제 출력 2
5 8
10946 17711
풀이
분명 풀었던 문젠데 다시 푸니 또 기억이 상실된 모양이다
피보나치 문제이지만 핵심은 값이 아니라 0과 1이 나오는 규칙에 집중해야 한다
n = 0 n = 1 n = 2 n = 3 n = 4 n = 5 n = 6
0 개수 | 1 | 0 | 1 | 1 | 2 | 3 | 5 |
1 개수 | 0 | 1 | 1 | 2 | 3 | 5 | 8 |
0의 갯수 = 이전 1 의 개수
1의 갯수 = 이전 0 + 이전 1 개수
# 피보나치 함수
T = int(input())
for i in range(T):
count_zero = [1,0]
count_one = [0,1]
N = int(input())
if N >= 2:
for i in range(N-1):
count_zero.append(count_one[-1])
count_one.append(count_zero[-2] + count_one[-1])
print(count_zero[N], count_one[N])
DP가 어려운 이유
이게 DP인걸 떠올리는 것 + 표를 그려보며 규칙을 찾아야 하는 것
무조건 쓰면서 규칙을 찾자!!
반응형
'Algorithms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 백준 2563. 색종이 - 구현 (0) | 2023.10.13 |
---|---|
[BOJ] 백준 1074. Z - 분할정복, 재귀 (0) | 2023.10.11 |
[BOJ] 백준 11724. 연결 요소의 개수 - BFS/DFS (0) | 2023.10.03 |
[BOJ] 백준 2606. 바이러스 - BFS/DFS, 실버3 (0) | 2023.10.03 |
[BOJ] 백준 1012. 유기농 배추 - BFS/DFS, 실버2 (0) | 2023.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