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백준 등수매기기
- jenkins
- MySQL완전삭제
- 백준 점프
- MongoDB
- 소프티어 지도자동구축
- 소프티어 장애물인식프로그램
- 백준 A->B
- 1987파이썬
- 백준알파벳파이썬
- express mongodb
- 금고털이 파이썬
- 도커 컨테이너
- 백준
- 파이썬 평범한배낭
- express
- 백준 전쟁-전투
- 등수매기기 파이썬
- CRUD
- 백준 예산
- 프로그래머스
- 백준 점프 파이썬
- 백준 바이러스
- 파이썬데이터분석라이브러리
- 백준 전쟁 파이썬
- 백준 평범한배낭
- 장애물인식프로그램 파이썬
- 백준 피아노체조
- 지도자동구축 파이썬
- 피아노체조 파이썬
Archives
- Today
- Total
바위 뚫는중
[BOJ] 백준 1010. 다리 놓기 - 조합, 실버5 본문
반응형
다리 놓기
시간 제한 메모리 제한 제출 정답 맞힌 사람 정답 비율
0.5 초 (추가 시간 없음) | 128 MB | 86142 | 40291 | 32766 | 48.173% |
문제
재원이는 한 도시의 시장이 되었다. 이 도시에는 도시를 동쪽과 서쪽으로 나누는 큰 일직선 모양의 강이 흐르고 있다. 하지만 재원이는 다리가 없어서 시민들이 강을 건너는데 큰 불편을 겪고 있음을 알고 다리를 짓기로 결심하였다. 강 주변에서 다리를 짓기에 적합한 곳을 사이트라고 한다. 재원이는 강 주변을 면밀히 조사해 본 결과 강의 서쪽에는 N개의 사이트가 있고 동쪽에는 M개의 사이트가 있다는 것을 알았다. (N ≤ M)
재원이는 서쪽의 사이트와 동쪽의 사이트를 다리로 연결하려고 한다. (이때 한 사이트에는 최대 한 개의 다리만 연결될 수 있다.) 재원이는 다리를 최대한 많이 지으려고 하기 때문에 서쪽의 사이트 개수만큼 (N개) 다리를 지으려고 한다. 다리끼리는 서로 겹쳐질 수 없다고 할 때 다리를 지을 수 있는 경우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입력
입력의 첫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그 다음 줄부터 각각의 테스트케이스에 대해 강의 서쪽과 동쪽에 있는 사이트의 개수 정수 N, M (0 < N ≤ M < 30)이 주어진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주어진 조건하에 다리를 지을 수 있는 경우의 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3
2 2
1 5
13 29
예제 출력 1
1
5
67863915
풀이
파이썬에서 제공하는 math의 comb를 활용해보자
간단하게 m개 기준으로 n개를 뽑으면 된다.
정답코드
import math
T = int(input())
for i in range(T):
n, m = map(int,input().split())
c = math.comb(m , n)
print(c)
순열/조합 개수 구하는 math모듈
import math
# n개 중 r개를 뽑아서 정렬하는 순열의 개수 출력
a = math.perm(n, r)
print(a)
# n개 중 r개를 뽑는 조합의 개수 출력
b = math.comb(n, r)
print(b)
# n개 중 r개를 중복을 허용하여 뽑는 중복 조합의 개수 출력
c = math.comb(n + r - 1, r)
print(c)
순열/조합 모두 나열하는 itertools 모듈
import itertools
# 이터레이터가 내놓는 원소들로부터 만들어낸 길이 n의 순열을 전부 리턴
it = itertools.permutations([1, 2, 3], 2)
print(list(it))
>>> [(1, 2), (1, 3), (2, 1), (2, 3), (3, 1), (3, 2)]
#이터레이터가 내놓는 원소들로부터 만들어낸 길이 n의 조합을 전부 리턴
it = itertools.combinations([1, 2, 3], 2)
print(list(it))
>>> [(1, 2), (1, 3), (2, 3)]
#이터레이터가 내놓는 원소들로부터 만들어낸 길이 n의 중복 조합을 전부 리턴
it = itertools.combinations_with_replacement([1, 2, 3], 2)
print(list(it))
>>> [(1, 1), (1, 2), (1, 3), (2, 2), (2, 3)]
반응형
'Algorithms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 백준 2606. 바이러스 - BFS/DFS, 실버3 (0) | 2023.10.03 |
---|---|
[BOJ] 백준 1012. 유기농 배추 - BFS/DFS, 실버2 (0) | 2023.09.30 |
[BOJ] 백준 1715. 카드 정렬하기 Python - 정렬 heapq 함수 정리, 골드4 (0) | 2023.09.28 |
[BOJ] 백준 18310. 안테나 Python - 정렬, 실버3 (0) | 2023.09.28 |
[BOJ] 백준 10825. 국영수 Python- 정렬, lamda, sort 실버4 (0) | 2023.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