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1987파이썬
- 백준 점프
- 파이썬 평범한배낭
- 백준 전쟁-전투
- 지도자동구축 파이썬
- MongoDB
- 백준 바이러스
- 장애물인식프로그램 파이썬
- 백준
- 피아노체조 파이썬
- jenkins
- 백준 평범한배낭
- 백준 예산
- MySQL완전삭제
- 백준알파벳파이썬
- 소프티어 장애물인식프로그램
- 소프티어 지도자동구축
- 백준 피아노체조
- 프로그래머스
- 파이썬데이터분석라이브러리
- 백준 점프 파이썬
- 백준 전쟁 파이썬
- 등수매기기 파이썬
- 금고털이 파이썬
- express
- CRUD
- 도커 컨테이너
- 백준 등수매기기
- express mongodb
- 백준 A->B
- Today
- Total
바위 뚫는중
[BOJ] 백준 2606. 바이러스 본문
https://www.acmicpc.net/problem/2606
문제
신종 바이러스인 웜 바이러스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파된다. 한 컴퓨터가 웜 바이러스에 걸리면 그 컴퓨터와 네트워크 상에서 연결되어 있는 모든 컴퓨터는 웜 바이러스에 걸리게 된다.
예를 들어 7대의 컴퓨터가 <그림 1>과 같이 네트워크 상에서 연결되어 있다고 하자. 1번 컴퓨터가 웜 바이러스에 걸리면 웜 바이러스는 2번과 5번 컴퓨터를 거쳐 3번과 6번 컴퓨터까지 전파되어 2, 3, 5, 6 네 대의 컴퓨터는 웜 바이러스에 걸리게 된다. 하지만 4번과 7번 컴퓨터는 1번 컴퓨터와 네트워크상에서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어느 날 1번 컴퓨터가 웜 바이러스에 걸렸다. 컴퓨터의 수와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정보가 주어질 때, 1번 컴퓨터를 통해 웜 바이러스에 걸리게 되는 컴퓨터의 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는 컴퓨터의 수가 주어진다. 컴퓨터의 수는 100 이하인 양의 정수이고 각 컴퓨터에는 1번 부터 차례대로 번호가 매겨진다. 둘째 줄에는 네트워크 상에서 직접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 쌍의 수가 주어진다. 이어서 그 수만큼 한 줄에 한 쌍씩 네트워크 상에서 직접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의 번호 쌍이 주어진다.
출력
1번 컴퓨터가 웜 바이러스에 걸렸을 때, 1번 컴퓨터를 통해 웜 바이러스에 걸리게 되는 컴퓨터의 수를 첫째 줄에 출력한다.
풀이
내가 정말 비선호하는,, 탐색문제, 익숙해져야겠지.
7
6
1 2
2 3
1 5
5 2
5 6
4 7
예시를 보면 1-2-3, 1-5-2(중복) 1-5-6 중복제외하면 총 4번 바이러스에 걸린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는 dfs로 풀어보기로 했다. 찾아보니 bfs가 속도는 더 느려도, 노드의 갯수가 많아진다면 안정성 측면에선 더 좋다고 한다. 두가지 다 할 줄 알아야 필요할 때 사용하기 좋을 듯.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com[][] ;
static boolean visited[];
static int count = 0;
static int N;
static int M;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 컴퓨터 수
M = Integer.parseInt(br.readLine()); // 네트워크 수
com = new int[N+1][N+1];
visited = new boolean[N+1];
for(int i =0; i <M; i++) { // 네트워크 수만큼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c1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c2 = Integer.parseInt(st.nextToken());
com[c1][c2] = 1;
com[c2][c1] = 1; // 인접 행렬 만들어 주기
}
DFS(1);
System.out.println(count);
}
public static void DFS(int start) {
visited[start] = true; //방문시 true
for(int i = 0 ; i <= N ; i++) {
if(com[start][i] == 1 && visited[i]==false) { // 방문하지 않았을 경우
DFS(i); // 다시 순회
count++;
}
}
}
}
탐색의 경우 집중공부를 좀 해야겠다.. 할때마다 새롭군
'Algorithms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 백준 18310. 안테나 Python - 정렬, 실버3 (0) | 2023.09.28 |
---|---|
[BOJ] 백준 10825. 국영수 Python- 정렬, lamda, sort 실버4 (0) | 2023.09.28 |
[BOJ] 백준 9461. 파도반 수열, DP (0) | 2023.09.02 |
[BOJ] 백준 10814. 나이순 정렬, Comparator (0) | 2023.09.02 |
[BOJ] 백준 2979. 트럭주차 (0) | 2023.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