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위 뚫는중

[BOJ] 백준 9461. 파도반 수열, DP 본문

Algorithms/백준

[BOJ] 백준 9461. 파도반 수열, DP

devran 2023. 9. 2. 23:12
반응형

https://www.acmicpc.net/problem/9461

문제

오른쪽 그림과 같이 삼각형이 나선 모양으로 놓여져 있다. 첫 삼각형은 정삼각형으로 변의 길이는 1이다. 그 다음에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정삼각형을 계속 추가한다. 나선에서 가장 긴 변의 길이를 k라 했을 때, 그 변에 길이가 k인 정삼각형을 추가한다.

파도반 수열 P(N)은 나선에 있는 정삼각형의 변의 길이이다. P(1)부터 P(10)까지 첫 10개 숫자는 1, 1, 1, 2, 2, 3, 4, 5, 7, 9이다.

N이 주어졌을 때, P(N)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는 한 줄로 이루어져 있고, N이 주어진다. (1 ≤ N ≤ 100)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P(N)을 출력한다.

풀이

그냥 규칙을 찾는데에 집중!!ㅎㅎ

코딩은 부족해도 이런건 재밌다..ㅋㅋㅋㅋㅋ이런거만 하고싶다

이참에 DP를 많이 풀어봐야겠다고 느꼈다. 이게 젤 쉽구나,, 짧으니 좋구나,,

다음과 같이 규칙을 찾으면, 배열에 이를 잘 적용해주기만 하면 된다.

백준 기준 틀린 풀이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T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테스트 케이스     
	      
	      for(int i = 0; i < T; 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arr[] = new int[N+3]; // N의 크기를 가진 배열 설정해주기
	    	  arr[0] = 1;
	    	  arr[1] =  1;
	    	  arr[2] = 1;    	 
	    	  //N이3넘을 경우 
	    	  if(N>=3) { 
	    		  for(int j = 3; j < N; j++) {
	    		  arr[j]= arr[j-3] + arr[j-2]; //arr 3 은 arr0 + arr1
	    	  }
	    	  }
	    	System.out.println(arr[N-1]);
	      }
	}
}

문제도 금방 풀었는데, 자꾸 틀렸다고 나와서 굉장히 괴로웠다^^

보니까 100을 입력하면 자꾸 음수가 나왔다. 이게무슨일?,, 큰수를 입력하니 음수가 자꾸나왔다

int → long으로 바꿨다.

이것도 모르고 정말 많은 시간을 허비했다. 식세우는거며 뭐며 넘 재밌었는데, 팍 식었다.

앞으로 주의하자.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T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테스트 케이스     
	      
	      for(int i = 0; i < T; 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long arr[] = new long[N+3]; // N의 크기를 가진 배열 설정해주기
	    	  arr[0] = 1;
	    	  arr[1] =  1;
	    	  arr[2] = 1;    	 
	    	  //N이3넘을 경우 
	    	 
	    	  if(N>=3) { 
	    		  for(int j = 3; j < N; j++) {
	    		  arr[j] = arr[j-3] + arr[j-2]; //arr 3 은 arr0 + arr1
	    	  }
	    	  }
	    	System.out.println(arr[N-1]);
	      }
	}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