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위 뚫는중

[Jenkins] Jenkins란? Jenkins 설치 및 실행 방법 본문

Ect

[Jenkins] Jenkins란? Jenkins 설치 및 실행 방법

devran 2022. 3. 31. 04:51
반응형

프로젝트에 필요한 젠킨스 기본 개념들을 공부해보려 한다.

본격적인 프로젝트는 도커에서 할 예정이므로, 일단 로컬호스트에서 프리뷰 진행!

Jenkins란?

Build를 자동화 해주는 툴!

Jenkins의 기능

  1. 대시보드 제공 - 여러가지 배포 작업의 상황을 모니터링
  2. 배포 스크립트 실행기능 - 배포 스크립트를 개발자 로컬에서도 실행 할 수 있지만, 젠킨스를 띄워놓으면 스케쥴링을 해줌
  3. 다양한 플러그인 - 빌드를 하는 환경도 다양하고 빌드를 할 때 바꿔 주어야 하는 옵션도 다양하고 각각 개발 환경과 개발한 언어도 다 다름! 이를 위해 젠킨스는 다양한 플러그인을 제공함

Jenkins 설치 및 실행 방법

$ brew install jenkins
$ brew services start jenkins // start jenkins
$ brew services stop jenkins // stop jenkins
$ brew services restart jenkins // restart jenkins

젠킨스 서버를 시작한 후 UI 서버에 접속을 시도

(나는 로컬에서 띄웠기 때문에 Jenkins server IP는 localhost로 둠)

-http://[jenkins server IP]:8080/

$ brew install jenkins

$ brew services start jenkins

connect to ‘http://[jenkins server IP]:8080/’

해당 경로로 이동하여 비밀번호를 찾는다

비밀번호를 입력 후 플러그인을 설치

설치 후 어드민 계정을 생성 후 인스턴스 설정

이렇게 간단하게 설치는 끝!

접속 포트는 기본으로 8080으로 지정되어있었기 때문에, 이를 필요에 따라 바꿔줄 수 있다

Jenkins 접속 포트 변경

Jenkins가 설치된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아래의 파일 찾기

httpPort 부분을 8080에서 8000으로 변경완료하였다

변경 한 뒤, jenkins를 restart 해주면 완료!

본격적인 프로젝트는 도커에서 할 예정이므로, 일단 로컬호스트에서 프리뷰 진행!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