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위 뚫는중

[BOJ] 백준 7568. 덩치 - 구현 본문

Algorithms/백준

[BOJ] 백준 7568. 덩치 - 구현

devran 2023. 10. 20. 14:01
반응형

🥈덩치

시간 제한 메모리 제한 제출 정답 맞힌 사람 정답 비율

1 초 128 MB 94040 52099 44008 55.982%

문제

우리는 사람의 덩치를 키와 몸무게, 이 두 개의 값으로 표현하여 그 등수를 매겨보려고 한다. 어떤 사람의 몸무게가 x kg이고 키가 y cm라면 이 사람의 덩치는 (x, y)로 표시된다. 두 사람 A 와 B의 덩치가 각각 (x, y), (p, q)라고 할 때 x > p 그리고 y > q 이라면 우리는 A의 덩치가 B의 덩치보다 "더 크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어떤 A, B 두 사람의 덩치가 각각 (56, 177), (45, 165) 라고 한다면 A의 덩치가 B보다 큰 셈이 된다. 그런데 서로 다른 덩치끼리 크기를 정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두 사람 C와 D의 덩치가 각각 (45, 181), (55, 173)이라면 몸무게는 D가 C보다 더 무겁고, 키는 C가 더 크므로, "덩치"로만 볼 때 C와 D는 누구도 상대방보다 더 크다고 말할 수 없다.

N명의 집단에서 각 사람의 덩치 등수는 자신보다 더 "큰 덩치"의 사람의 수로 정해진다. 만일 자신보다 더 큰 덩치의 사람이 k명이라면 그 사람의 덩치 등수는 k+1이 된다. 이렇게 등수를 결정하면 같은 덩치 등수를 가진 사람은 여러 명도 가능하다. 아래는 5명으로 이루어진 집단에서 각 사람의 덩치와 그 등수가 표시된 표이다.

이름 (몸무게, 키) 덩치 등수

A (55, 185) 2
B (58, 183) 2
C (88, 186) 1
D (60, 175) 2
E (46, 155) 5

위 표에서 C보다 더 큰 덩치의 사람이 없으므로 C는 1등이 된다. 그리고 A, B, D 각각의 덩치보다 큰 사람은 C뿐이므로 이들은 모두 2등이 된다. 그리고 E보다 큰 덩치는 A, B, C, D 이렇게 4명이므로 E의 덩치는 5등이 된다. 위 경우에 3등과 4등은 존재하지 않는다. 여러분은 학생 N명의 몸무게와 키가 담긴 입력을 읽어서 각 사람의 덩치 등수를 계산하여 출력해야 한다.

입력

첫 줄에는 전체 사람의 수 N이 주어진다. 그리고 이어지는 N개의 줄에는 각 사람의 몸무게와 키를 나타내는 양의 정수 x와 y가 하나의 공백을 두고 각각 나타난다.

출력

여러분은 입력에 나열된 사람의 덩치 등수를 구해서 그 순서대로 첫 줄에 출력해야 한다. 단, 각 덩치 등수는 공백문자로 분리되어야 한다.

제한

  • 2 ≤ N ≤ 50
  • 10 ≤ x, y ≤ 200

예제 입력 1

5
55 185
58 183
88 186
60 175
46 155

예제 출력 1

2 2 1 2 5

💡 아이디어

분명히 예전에 풀었던 것이지만 다시 푸니 여전히 새롭다

람다함수를 이용해서 정렬할까 생각했는데 그냥 하나하나 비교해줘야하는 모양이다!

예시를 자세히 살펴보면

a가 키는 큰데, 몸무게는 b가 큰 경우 두 등수는 같다!

즉, 키와 몸무게가 둘다 차이가 나야 +1의 등수차이가 나는 것이다

📝 풀이

n = int(input())

graph = [] 
for _ in range(n):
    graph.append(list(map(int, input().split())))

ans = []

for i in range(n):
    count = 0
    for j in range(n):
        if graph[i][0] < graph[j][0] and graph[i][1] < graph[j][1]: #자신보다 몸무게 키 모두 큰 사람의 수를 센다
            count += 1
    ans.append(count + 1)   #덩치는 자기보다 몸무게 키 큰 사람의 수 + 1 이다!

for num in ans:
    print(num, end=' ')

👩🏻‍💻 느낀점

이중 포문으로 간단하게 빡구현하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