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J] 백준 8979. 올림픽 - 구현
🥈 올림픽
시간 제한 메모리 제한 제출 정답 맞힌 사람 정답 비율
1 초 | 128 MB | 22675 | 8492 | 6943 | 38.570% |
문제
올림픽은 참가에 의의가 있기에 공식적으로는 국가간 순위를 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국가가 얼마나 잘 하는지에 관심이 많기 때문에 비공식적으로는 국가간 순위를 정하고 있다. 두 나라가 각각 얻은 금, 은, 동메달 수가 주어지면, 보통 다음 규칙을 따라 어느 나라가 더 잘했는지 결정한다.
- 금메달 수가 더 많은 나라
- 금메달 수가 같으면, 은메달 수가 더 많은 나라
- 금, 은메달 수가 모두 같으면, 동메달 수가 더 많은 나라
각 국가는 1부터 N 사이의 정수로 표현된다. 한 국가의 등수는 (자신보다 더 잘한 나라 수) + 1로 정의된다. 만약 두 나라가 금, 은, 동메달 수가 모두 같다면 두 나라의 등수는 같다. 예를 들어, 1번 국가가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를 얻었고, 2번 국가와 3번 국가가 모두 은메달 1개를 얻었으며, 4번 국가는 메달을 얻지 못하였다면, 1번 국가가 1등, 2번 국가와 3번 국가가 공동 2등, 4번 국가가 4등이 된다. 이 경우 3등은 없다.
각 국가의 금, 은, 동메달 정보를 입력받아서, 어느 국가가 몇 등을 했는지 알려주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입력의 첫 줄은 국가의 수 N(1 ≤ N ≤ 1,000)과 등수를 알고 싶은 국가 K(1 ≤ K ≤ N)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각 국가는 1부터 N 사이의 정수로 표현된다. 이후 N개의 각 줄에는 차례대로 각 국가를 나타내는 정수와 이 국가가 얻은 금, 은, 동메달의 수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전체 메달 수의 총합은 1,000,000 이하이다.
출력
출력은 단 한 줄이며, 입력받은 국가 K의 등수를 하나의 정수로 출력한다. 등수는 반드시 문제에서 정의된 방식을 따라야 한다.
서브태스크
번호 배점 제한
1 | 8 | 예제 입력, 출력 |
2 | 12 | N = 2 |
3 | 20 | 모든 국가의 은메달 및 동메달 획득 수는 0 |
4 | 25 | N ≤ 500 |
5 | 35 | 추가적인 제약 조건은 없다. |
예제 입력 1
4 3
1 1 2 0
2 0 1 0
3 0 1 0
4 0 0 1
예제 출력 1
2
예제 입력 2
4 2
1 3 0 0
3 0 0 2
4 0 2 0
2 0 2 0
예제 출력 2
2
💡 아이디어
4 3
1 1 2 0
2 0 1 0
3 0 1 0
4 0 0 1
위 예제를 보면 4개의 국가중 3번 국가가 몇등을 했는지 구하면 된다
- 금메달 수가 더 많은 나라
- 금메달 수가 같으면, 은메달 수가 더 많은 나라
- 금, 은메달 수가 모두 같으면, 동메달 수가 더 많은 나라
위와 같은 규칙을 따른다!
이때 금메달 있는건 1번이니 1번이 1등, 2,3 공동 2등, 4번이 3등이된다.
즉..3번은? 2등!
덩치 문제랑 다소 비슷한 듯 하다!
lambda를 이용해서 정렬한다면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순으로 정렬해주면 된다.
- for문 활용하여 등수 찾고 싶은 국가 찾기
- 등수가 같은 나라가 있을 수 있으니 점수가 같은 나라가 나오면 그 나라 번호 + 1 출력 (번호 0부터 시작하기 때문!)
📝 풀이
n, k = map(int, input().split())
team = []
for _ in range(n):
team.append(list(map(int, input().split())))
sort_team = sorted(team, key = lambda x : (-x[1], -x[2], -x[3]))
for i in range(n):
if sort_team[i][0] == k:
idx = i #구하려는 팀의 등수
for i in range(n): #구하려는 팀의 등수와 같은 팀의 등수 + 1 (0부터 시작하기 때문)
if sort_team[idx][1:] == sort_team[i][1:]:
print(i+1)
break
⚠️ 느낀점
역시 파이썬은 리스트를 잘 다루는 게 관건이다